
특구육성사업 연도별 특구육성사업 내용을 확인하세요.
육성방향 및
사업개요 사업목적, 사업기간, 지원조건 사업목적 | 연구개발특구의 연구성과 사업화 및 창업 지원을 통해 기술-창업-성장이 선순환하는 한국형 혁신클러스터를 육성 |
사업기간 | 2005년 ~ 계속 |
지원조건 | 출 연 |
주요내용 - 특구 연구성과 사업화 공공 연구성과의 조기사업화를 위해 우수기술에 대한 발굴과 기술수요자 - 공급자간 연계 및 사업화 지원
- 연구소기업·창업 성장지원 연구소기업, 우수 아이디어·기술기반 기업 등의 창업·성장 및 글로벌 진출 지원
사업 구조 
기술/수요기업 발굴 > 사업화 매칭 > 성장지원의 순서
R&D 성과 →
생태계 조성지원, 해외진출 지원 →
→
Exit 혹은 R&D 재투자 → 연구개발부터 위 프로세스 반복
기술 / 수요기업
발굴 시장 중심 기술 수요–공급 통합 플랫폼 구축 
- 기술수요자가 기술수요 발굴 → 기업역량판단
- 수요고도화 → Round Table(각 기관(기술보유관리, 기술매칭기관, 투자사/보육기관)의 기술보유자에게 수요중심기술 매칭)
기술수요 발굴
- 내부역량 활용 - 특구기업전수조사, 설명회 등
- 외부기관 협력으로 플랫폼 확장성 강화 - KIBO(테크브릿지), KISTI(BOSS) 등
수요 고도화
- 기술(제품) 컨셉 명확화
- NMK(Needs Material Kit) 도출
사업화 매칭 수요기술 중심 필요목적별(출자, 이전, 창업) 사업화매칭 추진 -
기술출자
- 출자 수요 발굴
- 매칭 기술 탐색
- 연구소기업 설립지원
-
기술이전
- 특구 공공기술 정보제공
- 신제품, 신사업 진출
- R & BD(제품화,양산화)
-
기술창업
- 기존기업 Spin - Off
- 아이디어 창업
- 기술창업
성장지원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통합 플랫폼 기능 강화 -
엑셀러레이팅
- 멘토링 및 집중보육
- 초기투자 및 후속투자 연계
- 네트워크 연계 후속성장
-
기술금융지원
- 마이크로VC 펀드
- 공공기술 사업화 펀드
- 특구벤처 펀드
-
글로벌 진출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