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구연구개발특구는 대경권의 중심지역인 대구광역시 및 경북 경산시 일원의 혁신역량과 고급기술 인력을 활용하여 R&D와 비즈니스 기능이 결합된 글로벌 융복합 클러스터 구축을 목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.
수립배경 |
|
---|---|
본부명 |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구연구개발특구본부 |
출범일 | 2011년 3월 2일 |
주요기능
2019
2017
2013
2012
2011
2010
구분 | 역할 | 행정소개 | 면적(㎢) | 주요단지 및 시설 |
---|---|---|---|---|
테크노폴리스 지구 | 대구특구 기술사업화 관련 핵심 거점 역할 수행 |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, 유가읍, 현풍읍 일원 | 7.9 | DGIST, ETRI, 생기(연)등 |
성서첨단산업 지구 | 첨단산업 중심의 특구 산업용지로활용 | 대구시 달서구, 대천동, 신당동, 월암동, 호림동, 호산동 일원 | 6.4 | 성서3차, 4차, 5차 첨단산업단지, 계명대 |
융합R&D지구 ⅠㆍⅡ | 특구발전에 핵심적인 IT관련 인재양성 및 인력공급 기능 담당 | 대구시 북구 동호동, 학정동, 대현동, 복현동, 산격동 일원 | 0.8 | Ⅰ지구:경북대 병원(칠곡), Ⅱ지구:경북대 |
의료R&D지구 | 특구와 첨복단지와의 연계로 IT의료융복합 기술사업화의 시너지 효과 창출 | 대구시 동구 각산동, 신매동, 율암동 일원 | 1.1 | 대구 신서혁신도시 |
지식서비스 R&D지구 ⅠㆍⅡ | 대학의 교육 연구시설과 연계한 클러스터 구축 및 특화분여 관련 인재양성 기능 | 경북 경산시 남산면, 압량면, 진량읍, 하양읍 일원 | 3.2 | Ⅰ지구 : 영남대, 대구한의대, 경북TP, Ⅱ지구 : 대구대, 경일대, 대구가톨릭대 |
면적 | 총 19.4㎢ (대구 16.2㎢, 경산 3.2㎢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