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요 및 기본개념
- 개요
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의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의 확산과 사업화 촉진을 위하여 조성된 지역 (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2조)
- 목적
연구개발특구를 혁신클러스터로 육성하여 지식재산을
창출하고 사업화를 촉진함으로써 국가 성장동력
창출에 기여
- 기본
개념 「기술·아이디어→사업화(창업)→기업성장→재투자」의 선순환을 촉진하기 위한 혁신 생태계를 구현
산·학·연과 지원기관들이 상호작용하여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,
지식확산 및 혁신창출, 과학기술 융복합의 거점이 되는 집적지 육성
주요연혁
- 1973.12
대덕연구학원도시
건설 기본계획 수립
1992.11 연구단지 준공 - 2005.07
대덕연구단지에서
대덕연구개발특구로 확대 개편
특구법 제정 - 2011.01
광주·대구
연구개발특구 지정
- 2012.11
부산연구개발특구
지정
- 2015.08
전북연구개발특구
지정
- 2019.08
강소특구 6곳
(안산,김해,진주,창원,포항,청주) 지정
제3차 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 수립배경 - ‘혁신 클러스터’ 정책의 중요성 증대
- 연구개발특구 추가지정 요청 등 지역 혁신역량 강화 요구에 대한 대응
계획의 근거 및 범위 - 수립 근거 : 「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」제6조
-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관할 시·도지사와 협의하고,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 (연구개발특구법 제6조③)
- 시간 범위 : 계획 기간은 2016~2020 (5년 단위의 중기계획)
- 공간 범위 : 연구개발특구법 제4조에 따른 연구개발특구를 대상
대내외 환경변화와 시사점 국내외 경제환경의 변화
- 지식의 창출·확산·활용을 통한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전환
- 기술·산업정책·지역정책을 아우른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보편화
- 광역경제권 중심의 지역발전 정책에서 지역혁신을 위한 시스템 필요
국내 정책환경의 변화
- 4차 산업혁명 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
- 연구개발특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기능적·공간적 연계
- 미래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다양한 노력
한국경제의 성장 잠재력 확충과 지속적인 공급 일자리 창출을 위해
연구개발특구 정책의 강화 지식 기술에 기반한 성장으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서는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강화필요
범위 및 구성요소
구성요소 - 지리적 집중
- 다양한 기업과 기관의 연계
- 특정 분야에의 특화
- 지속적인 혁신활동
기대효과
- 노동력, 기술 등 기업활동에 필요한 투입요소의 신속 용이한 조달
- 혁신에 필요한 암묵적 지식, 노하우의 접근, 확산(활용) 용이
- 기업집적으로 시설공유, 물류비용 절감을 통한 경쟁력 제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