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
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
대학, 연구소, 공기업 등 지역에 위치한 주요 거점 기술핵심기관(Innovation)을 중심으로
소규모ㆍ고밀도 집약 공간(Town)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의하여 R&D특구로 지정ㆍ육성

INNOTOWN

강소특구는 2019년부터 지정된 기술핵심기관 중심의 연구 및 산업기능 중심지역입니다.대학, 연구소, 공 기업등 지역에 위치한 주요 거점의 집약효과를 높이기 위해
기존 연구개발특구와는 다르게, 소규모 지역을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하여 고밀도 R&D 특구로 육성해 왔습니다.
현재 전국 14개 강소연구개발특구는 다양한 특성화분야에서 지역발전 선두주자로 나아가고 있습니다.

강소특구 특화분야

  • 디지털 헬스케어
    (서울홍릉)
  • ICT융복합 부품소재
    (경기 안산)
  • 차세대 자동차 부품
    (충남 천안아산)
  • 스마트IT부품·시스템
    (충북 청주)
  • 지능형 태양광·에너지 저장
    (전남 나주)
  • 친환경 전기차 부품소재
    (전북 군산)
  • 의생명·의료기기
    (경남 김해)
  • 항공우주부품·소재
    (경남 진주)
  •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
    (경남 창원)
  • 첨단 신소재
    (경북 포항)
  • 스마트 제조 시스템
    (경북 구미)
  • 미래형 전지
    (울산 울주)
  • ICT 융복합 환경오염처리 및 관리
    (인천 서구)
  • 바이오 의약 신소재
    (강원 춘천)
(단위 : 개) 2019년 947개 → 2021년 2,596개
입주기관

강소연구개발특구의 입주기관(공공기관 및 기업)의 수는
강소연구개발특구의 지역 집적도를 나타냅니다.
입주기관의 수는 연구개발특구 설립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,
2019년 947개 기관에서 2021년 2,596개로 2.74배 증가하였습니다.

(단위 : 조원) 2019년 3.4조 → 2021년 6.9조
기업매출

연구개발특구 기업 매출액은
기업의 경영상태와 산업선도 부문 등 지속적 기업활동의 평가지표를 나타냅니다.
강소연구개발특구 내 기업매출은
2019년 3.4조원에서 2021년 6.9조원으로 2.03배 증가하였습니다.

(단위 : 천명) 총 고용현황 : 2019년 25천명 → 2021년 77천명 / 박사 급 인력 : 2019년 7천명 → 2021년 19천명
고용현황

강소연구개발특구의 총 고용인원은
2019년 대비 25,000명에서 77,000명으로 3.08배 증가하였습니다.
박사급 인력은 2019년 7,000명에서 2021년 19,000명으로 2.71배 증가하였습니다.

(단위 : 조원)
특허(누적) - 2019년 국내특허등록 12,416건, 국제특허등록 655건 / 2021년 국내특허등록 21,459건, 국제특허등록 2,659건
기술이전 - 기술이전건수 419건 → 1,569건 / 기술료 수입액 9,497건 → 55,766건
연구성과

특허건수는 기업 및 연구소의 성과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강수연구개발특구의 특허건수는 2019년 13,071건에서 2021년 24,118건으로 4.06배 증가하였습니다.
또한 기술사업화 활성도를 보여주는 기술이전 건수와 기술료 수입액 또한 각각 3.74배, 5.87배 증가하였습니다.

가이드맵 바로가기